성씨의 유래

성씨의 유래

삭녕최씨시조(朔寧崔氏),최천로(崔天老)

작성일 : 2018-03-18 14:16

삭녕최씨의 연원(朔寧崔氏의 淵源)

삭녕(朔寧)은 경기도 연천군과 철원군의 일부지역을 차지했던 지명으로 고구려(高句麗)시대에는 소읍두현(小邑豆縣)이었으며 통일신라(統一新羅) 경덕왕(景德王)때에 삭읍현(朔邑縣)으로 고쳐졌고, 고려조(高麗朝)에 들어와 예종(睿宗)1년(1106년)에 삭녕군(朔寧郡)이 되었다.

1914년 일제(日帝)가 행정구역 개편 시에 삭녕군을 폐하고 내문면(內文面),인목면(寅目面),마장면(馬場面)을 강원도 철원군에 병합하고 나머지는 경기도 연천군에 편입되어 삭녕면(朔寧面)으로 남게 되었으나 현재는 휴전선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삭녕최씨는 고려조에 문화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오른 최천로(崔天老)를 시조(始祖)로 하고 고려 명종(明宗) 20년(1190) 국자감대사성(國子監大司成)과 추밀원사(樞密院使)를 역임한 다음 동(同) 24년(1194) 참지정사(參知政事)를 거쳐 문하 시랑평장사에 오른 최유가(崔諭價:麗史 瑜賈)를 중시조(中始祖)로 하고 있으나 중간세계(中問世系)가 부전하여 친어모군낭장(親禦梅軍郞將)을 지낸 崔善甫와 함경 전부사를 역임했던 최연을 각각 일세조(一世祖)로 하고 본관(本貫)을 삭녕(朔寧)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

대표적인 인물

친어모군당장을 역임한 최선보(崔善甫)의 후손으로 조선 초기 세종조(世宗朝)때 문명을 떨친 최항(崔恒)선생은 세종16년(1434) 알성문과(謁聖文科)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집현전부수찬(集賢殿副修撰)으로 훈민정음(訓民正音)창제에 주역을 담당하고 문형(文衡)을 맡아 수십 년을 재임하였으며 정난, 좌익, 좌리(靖難, 佐翼, 佐理) 삼훈공신(三勳功臣)으로 영의정(領議政)에 오르고 영성부원군(寧城府院君)으로 봉군되고 문정(文靖)의 시호(諡號)가 내렸다. 세종의 명을 받아 훈민정음해예(訓民正音解例) 동방어음(東方語音) 동국정운(東國正韻)등을 찬술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을 찬진 하였다. 문장이 장강대하와 같고 조정(朝廷)의 고문대책(高文大冊)은 모두 公의 손을 거치지 않는 것이 없었다.

또는 중국에서도 표사(表詞)가 정교함을 찬미하였다.

公이 알성문과에 장원할 무렵 세종대왕(世宗大王)이 꿈을 꾸었는데 한 마리의 큰 용(龍)이 성균관(成均館)서 편잣나무에 서리고 있는 것을 보고 깜짝 놀라 깨어서 내 관을 보내어 살펴보게 했더니 한선비가 그 잣나무아래 누워 낮잠을 자고 있었다. 이옥고 과거를 치르고 장원급제한 사람을 인견하여보니 다름 아닌 꿈속에서 낮잠 자던 바로 그 선비였으며 훗날 名臣이며 대학자인 태허정 최항(太虛亭 崔恒)이였다. 그로부터 그 잣나무를 장원백(壯元相)이라하여 과거를 앞둔 선비들이 거기 가서 낮잠 자는 풍습(風習)이 생겼다고 한다.

조선중기에 충신청백리(忠臣 淸白吏)로 명성을 떨친 그의 증손(曾孫) 崔興源은 선조원년(宣祖元年1568) 문과에 급제하여 황해, 충청, 평안, 함경(黃海. 忠淸, 平安, 咸鏡) 감사(監司)와 호조. 형조. 병조. 이조(戶曹, 刑曹, 兵曹, 吏曹)판서(判書)등을 역임하고 선조(宣祖)25년(1592)에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도순찰사(都巡察使)의 특명을 내려 해서(海西)에서 임무수행중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개성행재소(開城行在所)에서 영의정(領議政)에 올랐다. 애국애족(愛國愛族)의 일념으로 국토(國土)를 회복하고 평생관직에 있으면서 비단옷을 입어 본적이 없으며 청빈(淸貧)을 낙으로 삼아 부귀영화를 뜬 구름같이 여겼다.

영평부원군(寧平府院君)에 봉군되고 임진왜란의 큰 공으로 호성(扈聖)선무(宣武)공신(功臣)에 책훈되었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록선되고 충절과 청백을 상징하는 충정(忠貞)의 시호가 내렸다. 조선말기에 학자 시인으로 명성이 높았던 그의 14대손 崔遇亨은 철종원년(哲宗元年) 문과에 급제하여 삼사응교(三司應敎)를 거쳐 암행어사와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 경연지사(經筵知事)를 거쳐 호조. 공조, 예조(戶曹, 工曹, 禮曹)판서(判書)를 역임하고 고종(高宗)12년 종1품 숭록대부(崇祿大夫)에 계승되어 영풍군(寧豊君)으로 봉군되어 충훈부(忠勳府)의 首長과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를 겸임하였다. 또한 대전회통(大典會通)과 육전조례(六典條例)등 법전을 편수하는데 참여하여 기강확립(紀綱確立)에 많은 공적을 남기었다.

조선후기의 실학자(實學者)인 崔漢綺는 순조(純祖)25년 (1825)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연구에 전념하여 천문(天文), 지리(地理), 의학(醫學), 자연과학(自然科學)에 전념하여 방대한 저서(著書)를 남겼다. 함 경전부사(含慶殿副使)를 역임한 崔연의 아들인 時玉은 사헌부규정(司憲府科正)을 역임하였으며 증손인 최복린은 태종조(太宗朝)에 좌사간(左司練)을 거쳐 공조참의(工曹參議)에 올랐으며 현손인 道源은 지평(持平)을 지내고 네 (四)고을의 군수(郡守)를 역임하면서 많은 치적을 남겼다

삭녕최씨는 始祖로부터 조선조 말까지 관직(官職)이 한 代도 끊이지 않고 이어져 왔으며 문장도덕(文章道德)과 구국제민(救國濟民)의 명현(明賢)을 비롯하여 임진왜란 7공신(功臣) 7代봉군(封君) 2代청백리(淸白吏) 효자, 열녀, 실학자(實學者)등 수많은 인재를 배출하여 名門을 이루고 번연(蕃衍)하여 왔다.

인 구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에 의하면 삭녕최씨는 전국에51,525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