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씨의 유래

성씨의 유래

남양홍씨시조(南陽洪氏),홍은열(洪殷悅),남양홍씨조상인물

작성일 : 2017-06-02 17:31 수정일 : 2020-04-14 16:01

남양홍씨의 연원(南陽洪氏의 淵源)

陽洪氏(唐洪系)는 唐나라 貞觀年間(西紀643年代)에 고구려 榮留王의 초청으로 道禮文學에 조예가 깊은 八學士가 唐太宗의 命을 받아 東來하였는데 그 가운데 한분인 洪學士公에서부터 비롯되었다.

世宗實錄 地理誌(8卷 8冊)에 이르기를 “唐遺才子八人 往敎高句麗 洪其一也 子孫世貴於三韓 名所居曰唐城(唐나라에서 재주있는 젊은이 八人을 보내어 고구려에 가서 가르치게 하였는데 洪氏가 그중의 하나이다. 자손들이 대대로 三韓(고려를 말함)에서 貴하게 되었고 사는 곳을 이름하여 唐城이라 하였다)”이라고 하여 洪學士公 東來說의 典據가 되고 있다. 이 밖에도 洪學士公의 東來事蹟은 端宗 이전의 “南陽洪氏舊譜序”, 文正公 洪彦博의 神道碑銘(白文寶撰), 南陽府輿地勝覽(徐居正撰), 新增東國輿地勝覽과 增補文獻備考 등에 기록이 되고 있다.

남양홍씨(唐洪系)는 唐나라에서 東來한 洪學士公의 몇代孫이 鼻祖인 고려 太師 洪殷悅인지 확실하지 않아서 洪學士公을 先始祖라 하고 太師 홍은열(洪殷悅)을 시조(始祖)라 하여 내려오고 있다.

金吾衛尉別將 洪先幸을 始祖로 하는 南陽洪氏를 土洪系라고 하는데 이는 南陽洪氏인데도 각종 士禍나 兵亂 등으로 인하여 족보의 기록이 모두 失傳되고 보니 洪先幸의 上系계통은 상고할 길이 없어서 忍齋 洪暹(領議政)에 의하여 洪先幸을 始祖로 하는 족보가 정립된 것이라고 한다.

人口의 分布는 2000년도 통계청에서 발표된 바에 의하면 唐洪系가 39만여명이고 土洪系가 3만여명으로 기록되어 있다.


貫鄕地의 沿革

輿地勝覽을 보면 南陽府는 本來는 高句麗의 唐城郡이었는데 신라 景德王때는 唐恩郡이라 하였고 興德王이 폐하여 唐城鎭이라 하였다. 고려초에는 다시 唐城郡이라 하였고 顯宗 9년(1018년)에 革罷하여 水州屬郡으로 되었다가 뒤에 仁州에 移屬시켰고 明宗2년(1172년)에 竝雙阜로 하고 다시 唐城縣으로 하였는데 忠烈王16년(1290년)에 知益州事로 승격, 다시 승격하여 江寧都護府가 되었으며 忠烈王34년(1308년)에 益州牧으로 높였는데 忠宣王2년(1310년)에 낮추어서 南陽府라 하였다. 忠肅王3년(1315년)에 匡定公 洪奎에게 南陽府院君을 封함에 따라 이때부터 貫鄕을 唐城에서 南陽으로 改貫하였다.

조선조에 들어와서 太宗13년(1413년)에 都護府로 하였고 仁祖22년(1644년)에 낮추어서 縣이 되었으며 孝宗4년(1653년)에 다시 남양도호부라 하였다. 顯宗2년(1661년)에 다시 縣으로 낮추어졌고 동15년(1674년)에는 다시 도호부가 되었다. 高宗32년(1895년)에는 仁川府에 소속시키더니 1913년에 郡을 폐하여 靈興面과 大阜面은 富川郡에 소속시키고 그 나머지는 水原市에 소속시켰는데 지금은 華城市이다.

이와 같이 남양은 남양홍씨의 본향이라 하여 홍씨 인물의 관작과 품격에 준하여 그 승격이 거듭하였으니 명실공히 홍씨의 본향으로 굳어졌고 동국여지승람에도 남양의 人物條에 洪灌, 洪奎, 洪子藩, 洪彦博, 洪敬, 洪彬, 洪汝方, 洪達孫, 洪逸童, 洪應, 洪景舟 등을 주요인물로 기록하고 있다.


南陽洪氏의 槪觀

남양홍씨는 역사적으로 볼때 고려와 조선시대에 걸쳐 수많은 人才들을 배출하였고 따라서 우리나라의 많은 姓氏중에서도 남양홍씨라하면 손꼽히는 名門으로 모두가 인정하고 있다. 朝鮮朝때만 하더라도 文科及第者의 數가 340명이나 되고 相臣11명, 文衡4명, 淸白吏5명, 王妃 1명 등이 나온 것이다.

남양홍씨는 고구려의 초청으로 당나라에서 이땅에 東來하여 가르친 팔학사중의 한분인 洪學士公의 후손인 것으로 많은 文獻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그 내력을 확실히 알수가 없어서 傳來해 오는 家乘에 의하여 고려 太師 洪殷悅을 始祖로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조선조 숙종때에 스님의 발낭(鉢囊)에서 나온 가승에서 太師 洪殷悅 이전의 先十世의 기록이 나왔지만 확실한 고증이 없으므로 오늘날까지 예전대로 태사공을 시조로 모시고 있으며 홍학사공을 先始祖라 하고 있다.

남양홍씨의 시조인 고려 太師 洪殷悅은 고려 太祖 王建을 王으로 추대한 功이 있어서(白文寶가 撰한 文正公 洪彦博의 神道碑銘, 牧隱 李穡의 唐城趾 望海樓記 등 文獻 參照) 三重大匡太師 匡翼效節獻襄定難弘濟奮庸亮采保乂經濟功臣의 勳號를 받았다.

忠平公 洪灌은 仁宗4년(1126년) 李資謙의 亂때 王을 호위하다가 西華門 밖에서 殉節하니 忠義의 사표가 되었으며 推誠報國功臣三重大匡 등이 追贈되고 諡를 忠平이라 하였다. 또한 洪灌은 당대 제일의 名筆家이고 學文에도 조예가 깊어 文德殿學士, 寶文閣太學士를 지냈으며 王命에 의하여 三韓事實續編을 지었다.

元宗이 元나라로부터 환국하고자 할때 元宗10년(1270년) 洪奎는 宋松禮와 함께 반역세력을 물리치고 도읍을 강화도에서 개성으로 출육하게 하니 忠臣의 사표로서 삼강행실도에 수록되었고 安社功臣, 壁上三韓三重大匡 남양부원군에 봉해졌으며 이때부터 南陽을 貫鄕으로 삼았다. 洪奎는 忠宣王妃인 順和院妃와 忠肅王妃인 明德太后의 아버지가 된다.

洪子藩은 文科에 僉議中贊으로 宰相을 세번이나 歷任하신 분이신데 1296년 便民 十八事를 올려 백성들을 편히 살게 하였으며 翊戴功臣으로 壁上三重大匡에 追封, 忠宣王 廟庭에 配享되었다.

1293년 忠烈王이 燕京에 있을때 洪君祥이 극진히 모시면서 원나라의 3차 일본정벌계획을 고려의 어려움을 대변하여 중지하게 하였으니 고려를 위한 功으로 三韓壁上功臣 益城侯에 봉하였다. 또 忠肅王이 참소를 받아 원나라에 억류되어 있을때에 康敬公 洪彬은 사력을 다하여 혐의를 벗도록 하였고 또한 忠惠王이 元나라에 압송되었을때에도 극진히 변호하여 무사하게 하였으므로 輔理功臣 右政丞 唐城府院君에 封하였다.

文正公 洪彦博은 고려 공민왕때 門下侍中으로 安社功臣이었으며 1363년 홍건적의 난때에는 공민왕을 호종하였고 金鏞의 叛亂때 흥왕사의 변으로 殉節하였다. 唐城君 洪徵은 禑王3년(1377년) 倭賊이 西海道(信川, 文化 등지)를 침범했을때는 助戰元帥로, 그리고 禑王11년(1385년)에도 東北面副元帥로 참전한 功이 있었다. 그러나 禑王14년(1388년) 崔瑩 등이 廉興邦을 처단할때에 洪徵의 配位인 曲城廉氏는 曲城府院君 廉悌臣의 따님이고 廉興邦의 누이인지라 興邦의 族黨으로 지목되어 緣坐시키니 洪徵과 그의 아들 尙濱(奉敎), 尙溥(典法佐郞), 尙淵(佐郞) 四父子가 禍를 입은 大慘事가 있었다. 戊辰被禍때에 洪徵의 大小家는 화를 피하여 江原道, 咸鏡道 등지로 흩어졌다고 한다.

朝鮮朝에 들어와서는 文景公(洪吉旼)이 太祖開國功臣 2等으로 戶曹判書 등을 지냈으며 康襄公 洪恕가 당상관에 올라 새롭게 출발하여 8대명문에 올랐으니 能文能吏의 대표적인 성씨라고 해야 할 것이다. 단종 시대에는 공조판서 홍언수의 아들 홍약(洪約)은 수양대군이 단종을 핍박하고 왕위를 찬탈하려하자 그의 實弟인 洪迪 洪勝 洪海 등 4兄弟와 그의 아들 洪元老 洪亨老 洪利老 등 3兄弟와 한 가족 일곱사람이 端宗守護를 위한 안평대군의 무계정사 射宴에 참여하고 금성대군과 사연칭탁 창의로 籍沒되고 피화하여 七忠臣宅이라 하고 七忠祠에 배향되었다.

唐城君 洪徵의 曾孫이 되는 洪敬孫과 洪演은 世宗朝때 文科하여 出仕하였는데 洪敬孫은 才能이 特出한데도 고려왕족의 外孫이라고해서 크게 登用되지 못하고 僉知中樞府事에 同知成均館事로 그쳤으며 洪演은 司憲府執義일때 端宗이 魯山君으로 강등되어 귀양을 가고 죽임을 당하니 벼슬을 버리고 죄인임을 탄식하다가 굶주림과 杖毒으로 卒하였다. 洪演과 洪九敍(判尹)는 계룡산 東鶴寺內 肅慕殿에 配享되어있다. 그리고 唐城君의 또다른 曾孫인 洪元淑은 아버지 洪齡과 함께 端宗을 영월의 流配地까지 侍從하다가 殉節하였고 그 아들인 玉峯公 洪自阿도 兵曹參判을 지냈으나 이전에 錦城大君과 함께 魯山君의 復位를 꾀한 일이 발각되어 被禍되고 말았다.

友菊齋公 洪敬孫을 비롯하여 그 자손들은 한 代도 빠짐없이 代代로 계속하여 文科에 及第하였으니 가이 名家門이라 하겠다.

休休堂 洪應은 文科에 賜暇湖堂, 佐理功臣, 益城府院君에 進封되고 成宗때 左議政에 올랐는데 글씨를 잘썼으며 成宗廟庭에 配享되었다.

安武公 洪達孫은 武藝가 출중하였는데 1453년에 世祖를 도와 靖難功臣 1등이 되고 1455년 佐翼功臣 2등이 되었다. 世祖13년에 左議政에 오르고 南陽府院君에 봉해졌다. 威平公 洪允成은 文科하고 1453년 당시의 수양대군을 도와 靖難功臣 2등이 되었고 이어 佐翼功臣이 되었다. 世祖14년(1469년)에 領議政에 오르고 仁山府院君에 봉해졌다.

虛白堂 洪貴達은 文科에 급제하고 文武를 겸하여 李施愛의 亂때에 功을 세웠으며 大提學, 戶曹判書를 거쳤다. 王命에 의해 五禮儀註를 개정하였고 1500년에는 續國朝寶鑑과 歷代明鑑을 편찬하였는데 燕山君에 의해 처형되었다. 中宗反正후 復官하였다.

度烈公 洪景舟는 중종반정을 주도하여 靖國功臣 1등으로 남양군에 봉해졌으며 兵曹判書 左贊成을 역임하였다.

石壁公 洪春卿은 中宗時 文科하고 重試에 壯元하여 賜暇湖堂하였고 관찰사를 지냈으며 증영의정 南寧府院君에 진봉되었다.

洪春卿은 天民, 逸民, 聖民 세아들을 두었는데 그 후손들이 文科에 급제한 人物만해도 100여명에 이르니 정승, 판서를 비롯하여 堂上官에 오른 사람이 다수이어서 南陽洪氏중에서도 名門으로 알려지고 있다.

拙翁公 洪聖民은 文科及第에 賜暇讀書하였고 宣祖13년에는 重試에 壯元, 宣祖光國平難功臣에 兩館大提學을 지냈으며 贈領議政에 益城府院君이다.

鶴谷公 洪瑞鳳은 仁祖反正때 功을 세워 靖社功臣이 되고 大提學을 지냈으며 丙子胡亂時 左議政으로 敵陣을 왕래하여 和議를 이루었고 領議政에 올랐다. 文衡에 益寧府院君이다.

海峯公 洪命元은 宣祖때 文科하고 獻納 府使 등을 지내다가 光海君初에 後金과의 修交사실이 明나라에 알려져 國交가 惡化되었을적에 急告使로 明나라에 가서 무마하였으니 外交에도 능하였는데 仁祖反正후 京畿道觀察使를 지냈다.

無適堂公 洪命亨은 文科에 壯元하였고 右承旨 在職時 丙子胡亂이 일어나자 江華에 있다가 敵兵의 侵攻을 보고 金尙容과 함께 화약고에 불을 지르고 殉節하니 兵曹判書에 追贈되고 江華의 忠烈祠에 配享되었다. 贈領議政으로 忠烈祠(金化)에 配享되었다.

懶齋公 洪命耈는 文科及第하고 仁祖7년(1629년)에 文臣庭試에 及第하였다. 平安道觀察使로 있을때 丙子胡亂이 일어나자 勤王兵 2千을 거느리고 金化에서 敵將과 싸우다가 戰死하였는데 이때의 나이가 42세이었다. 贈領議政으로 忠烈祠(金化)에 配享되었다.

沂川公 洪命夏는 仁祖22년에 別試文科, 仁祖24년에 重試에 급제하였는데 그후 벼슬이 올라 顯宗6년(1665년)에 領議政에 오르고 淸白吏에 책록되었다.

梨川公 洪重普는 仁祖23년 文科及第하고 많은 官職을 거쳐 顯宗10년에 右議政에 올랐다. 큰며느리가 孝宗딸 淑安公主이다.

北谷公 洪致中은 숙종32년 文科及第하고 숙종38년에 北評使로 나와 있을때 淸나라 使臣과 白頭山의 경계를 심의하였다. 여러 官職을 거치고 英祖5년 領議政에 올랐으며 宗事에도 많은 努力을 하였는데 始祖 太師公과 三世 僕射公의 묘소를 찾고 묘비문을 撰하였다.

澹窩公 洪啓禧는 洪命元의 玄孫으로 영조3년 別試文科에 壯元하고 영조24년 日本通信使, 그후 觀察使, 判書, 漢城府判尹을 歷任하였고 列聖誌를 增補하였으며 海東樂을 지었다. 判中樞府事, 奉朝賀에 이르렀다.

梅山公 洪直弼은 학업에 정진하여 대유학자가 되었는데 學行으로 천거되어 여러 官職에 있다가 哲宗2년(1851년) 大司憲을 지내고 後學養成에 힘을 써서 많은 弟子를 배출하였다.

고종때 洪啓薰은 동학혁명이 일어나자 兩湖招討使로 出戰하였으며 그 功으로 訓練大將에 승진하였고 을미사변때 광화문을 수비하다가 倭軍과 亂徒들에게 禍를 입었다. 軍部大臣에 贈職되었고 장충단에 배향되었다.

汾溪公 洪淳穆은 憲宗10년 增廣文科에 及第하여 出仕하였는데 여러 官職을 거친후 高宗이 즉위하자 興宣大院君의 신임이 두터워 좌의정에 올랐으며 大院君의 政策을 적극 지지하였다. 高宗9년 領議政에 오르고 高宗10년(1873년) 大院君이 실각하자 사임하고 領敦寧府事이었다. 壬午軍亂으로 다시 領議政이 되었다가 사직하였는데 開化黨인 아들 洪英植이 일으킨 甲申政變이 3일만에 실패하자 驪州梨浦 사저에서 自決하였다.

홍만식(洪萬植)은 영의정 홍순목의 맏아들로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판에 올랐으나 동생 홍영식이 갑신개혁이 실패하자 자결하려 하였으나 백부 앞으로 출계되어 아버지의 만류로 자결하지 못하고 투옥되었다가 이듬해에 풀려나 해주관찰사 등 관직이 제수되었지만 모두 사양하고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자결하였다.

홍영식(洪英植)은 領議政 洪淳穆의 둘째 아들로 文科에 급제, 1881년 紳士遊覽團의 한 사람으로 일본을 시찰하였고 참의군국사무를 지내고 전권대신으로 미국에 다녀와 병조참판이 되었다. 甲申개혁을 주도하여 事大黨을 제거하고 새로운 정부를 조직, 우의정이 되었으나 淸나라의 개입으로 3일만에 실패로 끝나 처형되었고 그후 甲午更張으로 伸寃되어 대제학이 추증되었다. 만약에 갑신개혁이 성공을 하였다면 우리나라의 발전이 100년은 앞당겨졌을 것이며 일제의 식민지나 남북이 분단되는 비극은 없었을 것이다. 갑신개혁의 실패는 홍영식의 비운일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비극이기도 하다.

홍경래(洪景來)는 평남 용강 출신으로 조정의 평안도 출신 차별과 안동김씨의 세도정치에 반감을 가지고 출사를 포기하고 학문에 정진하다가 1800년에 거사를 도모하고 다복동을 근거지로 하여 난을 일으켜 평안도 일대를 장악했으나 관군의 반격으로 정주에서 전사하였다.

홍범도(洪範圖, 1868~1934)는 평안도 양덕 출신으로 1907년 11월에 山砲隊라는 의병을 조직하여 북청의 후치령을 중심으로 왜군을 격파하였고 1910년에는 간도로 건너가 독립군 양성에 주력하고 1919년에 대한독립군총사령관이 되어 봉오동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고 흑룡강변으로 옮겨 대한독립군단을 조직하여 金佐鎭장군과 함께 부총재가 되고 청산리작전에 큰 전과를 올렸다. 이듬해에 러시아영으로 옮겨 고려혁명군관학교를 세워 독립군양성에 힘썼다. 1962년에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複章이 수여되었다.

홍병기(洪秉箕, 1868~1949)는 驪州출신으로 동학에 입도하여 동학혁명에 가담하였고 천도교 長老로 3․1독립운동때 민족대표 33인중 한사람으로 독립선언문에 서명하였다. 이때문에 일제에 의하여 체포되어 2년형을 선고받고, 출옥후 만주로 망명, 독립운동을 계속하였다. 1962년에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複章이 수여되었다.

홍기조(洪箕兆, 1865~1938)는 평남 용강 출신으로 동학에 입도하여 황해도 평안도의 대접주가 되어 倡義大領을 역임하고 3.1운동때에는 33인중의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문에 서명한 죄로 체포되어 2년형을 선고받았다. 1962년에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複章이 수여되었다.

홍병준(洪秉俊)은 1919년 3․1독립운동이 일어나자 동두천시내에서 독립운동을 주도하다 체포되어 고문을 당한 형독으로 사망했다. 1975년에 동두천시민들의 성금으로 소요산 입구에 충의비를 세웠다. 이와 같이 남양홍씨의 혈맥은 不義에 굴하지 않는 충절의 기개가 면면히 흐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역대인물(歷代人物)-남양홍씨조상인물

홍은열(洪殷悅) : 시조((始祖), 고려 삼중대광 태사, 광익 효절 헌양 정난 홍제 분용 양채 보예 경제공신의 훈호를 받았다. 묘는 황해도 금천군 서천면 홍묘리 취적봉 병좌

홍동주(洪東周) : 태중대부 태부경

홍 의(洪 毅) : 은청광록대부 상서우복야

홍 척(洪 陟) : 正甫

홍 난(洪 蘭) : 부정호 재신공파 파조

홍칠빈(洪七彬) : 내승

홍 호(洪 灝) : 위위시경 태자첨사

홍 복(洪 澓) : 봉어 예부시사 예사공파 파조

홍덕승(洪德升) : 중산대부 군기감사

홍덕성(洪德成) : 靖宗원년 문과 병부상서

홍덕위(洪德威) : 병부상서

홍한승(洪漢升) : 은청광록대부 추밀원부사 上護軍

홍 관(洪 灌) : 字 無黨, 號 靜軒, 諡號 忠平, 문과에 급제, 直史館을 지내고 1111년에 동북면병마사가 되고 어사중승. 예부상서에 이르렀다. 1114년에 문덕전 학사가 되었는데 당대 제일의 명필로 직사관 문액을 쓰고 회경전 병풍에 서경의 무일편을 썼다. 삼한사실속편을 편수하고 수사공 상서 우복야에 이르렀다. 인종4년 1126년 이자겸의 난때 인종을 보위하다 순절하여 추성보국공신 수태위 문하시랑 평장사 판예부사 상주국이 추증되고 순절지 서화문 곁에 취의비를 세웠다.

홍 후(洪 厚) : 중랑장, 인주도령, 중랑장파 파조

홍 충(洪 沖) : 추밀원부사, 상장군

홍지유(洪至柔) : 금자광록대부 참지정사 병부상서

홍유기(洪惟己) : 중윤, 삼중대광에 추봉

홍 세(洪 世) : 증삼중대광 보국 도첨의 정승 판전리사사 상호군

홍원중(洪源中) : 군기도감 판사

홍윤서(洪倫叙) : 이부랑중

홍 연(洪 演) : 은청광록대부 상서 좌복야

홍 덕(洪 德) : 중랑장 인주도령

홍 분(洪 芬) : 광정대부 판도판서 겸 상호군

홍윤심(洪允深) : 통의대부 집현전학사, 증추성익대좌리공신 남양군

홍 좌(洪 佐) : 고려조 직장 정7품 동반

홍사윤(洪斯胤) : 은청광록대부 상서 우복야 추밀원부사

홍성윤(洪成胤) : 호부원외랑

홍인윤(洪仁胤) : 양온서령

홍제선(洪濟先) : 검교비서 중랑장

홍유도(洪由道) : 봉익대부 동지밀직사사 감찰대부첨서 밀직부사

홍 빈(洪 彬) : 추성익대동덕협의보리공신 벽상삼한삼 중대광 판전리사사 당성부원군 諡康敬

홍양제(洪楊濟) : 중랑장

홍 진(洪 縉) : 한림학사, 추밀원부사

홍 주(洪 冑) : 감찰어사

홍 예(洪 裔) : 동지추밀원 한림학사

홍 용(洪 容) : 군기소감, 증숭정대부 예문관대제학

홍세진(洪世璡) : 이부상서

홍 인(洪 諲) : 은청광록대부 상서좌복야 상장군

홍복해(洪福海) : 정순대부 판내부시사

홍수산(洪壽山) : 봉상대부 통례문부사

홍 우(洪 佑) : 시호 충숙

홍 규(洪 奎) : 初諱 文系, 號는 壽齋. 諡號匡定. 분책증난부위안사공신 벽상삼한삼중대광 광정대부 상의첨의감사, 삼강행실도에 수록되어 충신의 사표가 되고 남양부원군에 봉해짐으로서 이때부터 남양홍씨라는 본관이 형성되었다. 충선왕비인 순화원비와 충숙왕비인 명덕태후의 아버지이다.

홍자번(洪子藩) : 字 雲之. 諡號 忠正. 추성동덕익대공신 벽상삼한삼중대광 도첨의 중찬으로 재상을 세번 중임, 충선왕 묘정에 배향

홍자한(洪子翰) : 금오위 상장군 겸 사헌중승. 지감찰사사

홍제년(洪濟年) : 정헌대부 동지중추 증순충정덕병의보조공신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 회산부원군

홍 선(洪 漩) : 광정대부 검교첨의평리겸판부시사

홍복원(洪福源) : 동경총관

홍백수(洪百壽) : 금자광녹대부 추밀원부사 공부상서

홍 명(洪 溟) : 자헌대부 한성판윤

홍 귀(洪 貴) : 봉선대부 흥위보위 승호군

홍 서(洪 叙) : 좌복야

홍다구(洪茶丘) : 1280년 원나라로부터 수박씨를 들여왔다. 원나라 요양 우승.

홍군상(洪君祥) : 삼한벽상공신 삼중대광 익성후

홍 융(洪 戎) : 諡號 莊簡, 중대광 판삼사사, 남양부원군 충선왕의 외숙이다.

홍 경(洪 敬) : 시호 良順. 첨의찬성사

홍 순(洪 順) : 첨의평리, 益山君

홍 인(洪 璘) : 상장군

홍정증(洪廷鄫) : 중산태부 검교소보

홍 선(洪 詵) : 諡號 寬靖, 봉절익량공신, 삼중대광 첨의찬성사, 강녕부원군

홍사석(洪師錫) : 시호 장양 중추부사 도안찰사

홍 주(洪 澍) : 삼중대광첨의 삼사좌사에 오르고 南陽君에 봉해졌다. 남양군파 파조

홍언박(洪彦博) : 字 仲容. 號 陽坡. 諡號 文正, 단성양절보리안사공신, 문하시중, 남양후, 김용의 난 때 흥왕사의 변으로 순절, 문정공파 파조

홍언유(洪彦猷) : 순성익대보리공신 삼중대광 판밀직부사, 남양군 판밀직공파 파조

홍언수(洪彦修) : 공양왕때 공조판서 참지문하부사 상의중추원사 조선개국 원종공신 판중추부사 판중추공파 파조

홍승서(洪承緖) : 우부승지 정윤 대언공파 파조

홍승찬(洪承讚) : 문하시중 시중공파 파조

홍승열(洪承烈) : 시랑 시랑공파 파조

홍승조(洪承祚) : 형부상서 상서공파 파조

홍승연(洪承演) : 봉선대부 선공감영 선공감영공파 파조

홍운수(洪云遂) : 重大匡 익산군, 익산군파 파조

홍운형(洪云衡) : 보리공신 밀직사사 당성군 당성군파 파조

홍연보(洪延甫) : 봉익대부 판도판서 증정헌대부 이조판서 판서공파 파조

홍우평(洪禹平) : 參奉 사간공파 파조

홍복기(洪復琪) : 판서

홍 수(洪 綏) : 우부대언, 강녕군

홍 탁(洪 鐸) : 충혜왕의 국구, 도첨의시중 익성부원군

홍 강(洪 綱) : 찬성사

홍 익(洪 翊) : 수흥부원군

홍백연(洪伯涓) : 경기수사

홍석주(洪錫疇) : 문과 집현전 제학

홍 순(洪 淳) : 염주백

홍문영(洪文永) : 사헌부장령

홍 흥(洪 興) : 대언

홍 은(洪 恩) : 삼사좌윤

홍 징(洪 徵) : 순성익대보리공신, 광정대부 판밀직사사 상장군, 당성군, 1388년(戊辰)피화

홍 빈(洪 斌) : 판사

홍사보(洪師普) : 개성판윤

홍사범(洪師範) : 지밀직사 남양군, 시호 충민 명나라에서 오다가 풍랑으로 사망

홍사우(洪師禹) : 삼중대광, 지밀직사사 피화

홍사원(洪師瑗) : 공조전서

홍유용(洪有龍) : 예부시랑

홍유구(洪有龜) : 이부상서 동북면병마사

홍영통(洪永通) : 문하시중 영삼사사 南陽伯

홍 순(洪 淳) : 고려 문과 조선조 호조참의

홍유원(洪有黿) : 남양군

홍 연(洪 延) : 중산대부 감찰어사

홍 유(洪 瑜) : 봉익대부 밀직부사

홍 호(洪 瑚) : 상서

홍상재(洪尙載) : 1369년 예부상서로 명나라 태조의 즉위를 축하하고 처음으로 국교를 맺었다. 1383년에 정조사로 명나라에 갔으나 원나라와도 친교를 맺고 있다는 이유로 귀양갔다가 이듬해에 정몽주의 주선으로 풀려났다. 첨의평리 밀직을 지내고 唐城君에 봉해졌다.

홍개도(洪開道) : 밀직사 좌대언

홍창도(洪昌道) : 전서

홍천부(洪天富) : 전서

홍법장(洪法藏) : 전서

홍사신(洪思信) : 판사

홍 기(洪 璣) : 호조전서

홍 연(洪 珚) : 상호군 동지중추부사

홍 선(洪 璿) : 摠制

홍 한(洪 漢) : 병조판서

홍 약(洪 約) : 충청도 수군처치사로 판중추부사 숭록대부, 금성대군과 단종수호를 위한 사연칭탁 창의로 籍沒 世祖4年에 伸寃되었다.

홍 적(洪 迪) : 一諱 適. 대호군

홍 승(洪 勝) : 첨사

홍 해(洪 海) : 唐城尉 태조의 駙馬

홍원철(洪元哲) : 당성부원군

홍극창(洪極昌) : 문과 이조판서

홍귀손(洪貴孫) : 상호군

홍효창(洪孝昌) : 문과 부사

홍중운(洪仲雲) : 판사

홍중선(洪仲宣) : 고려 충혜왕때 문과, 정당문학 찬성, 우왕기미년 유배지 의령에서 피화

홍연안(洪延安) : 철원부사 증참의

홍거안(洪居安) : 상호군

홍계안(洪季安) : 장흥고사

홍 준(洪 濬) : 중직대부, 춘추유학 교수관

홍 의(洪 義) : 판밀직

홍원로(洪元老) : 판사

홍덕윤(洪德潤) : 전서

홍덕안(洪德安) : 전서

홍희정(洪希正) : 가선대부 한성좌윤

홍희충(洪希忠) : 전서

홍희득(洪希得) : 판사

홍상빈(洪尙濱) : 문과 봉교, 무진피화

홍상부(洪尙溥) : 진사 고려 우왕 계해문과 전법좌랑, 무진피화

홍상연(洪尙淵) : 문과 좌랑, 무진피화

홍상직(洪尙直) : 무과 절제사 증참판

홍상검(洪尙儉) : 수안군사

홍상리(洪尙利) : 좌랑

홍 민(洪 敏) : 한성서윤

홍 선(洪 璿) : 摠制

홍 주(洪 柱) : 한림학사

홍태언(洪台彦) : 전서

홍 우(洪 佑) : 문과 태중대부 중서사인

홍 구(洪 矩) : 전서

홍이평(洪以平) : 문과 증이조판서

홍이성(洪以成) : 창성부사

홍이명(洪以明) : 부사

홍이형(洪以亨) : 만호

홍 신(洪 愼) : 문과 경주부윤

홍 겸(洪 謙) : 증가선 남양군

홍 근(洪 謹) : 첨지중추부사

홍 심(洪 諶) : 사역원

홍언묵(洪彦黙) : 무술천부사

홍윤서(洪潤緖) : 문과 홍문관 교리

홍 서(洪 恕) : 좌명공신 남양군 시호 강양

홍보현(洪普賢) : 가정대부 중추원부사

홍 잠(洪 潛) : 자헌대부 참찬 문하부사

홍선기(洪宣起) : 공조전서

홍 보(洪 寶) : 판관

홍창현(洪昌顯) : 형조참의

홍효의(洪孝義) : 대호군

홍원로(洪元老) : 상장군

홍형로(洪亨老) : 대호군

홍이로(洪利老) : 공조참의

홍정로(洪貞老) : 가선대부 훈련원도정

홍순로(洪純老) : 가정대부 정난공신 당성군

홍형생(洪亨生) : 판관 남이옥사로 피화

홍 로(洪 魯) : 공양왕 2년에 문과 문하사인 고려가 망함에 은거불사

홍길민(洪吉旼) : 諡號 文景. 문과, 조선조때 순충개국공신 호조판서 집현전 대제학, 남양군

홍여공(洪汝恭) : 황주진관병마수군 절제도위

홍윤강(洪允康) : 중훈대부 사재감

홍유구(洪有矩) : 사직

홍명철(洪明哲) : 우군사정

홍애조(洪愛造) : 부사정

홍애지(洪愛智) : 사인

홍애도(洪愛道) : 생원

홍 지(洪 智) : 사재감 직장 증이조참판

홍 영(洪 齡) : 지평

홍 척(洪 陟) : 중군사정 증이조참판

홍중복(洪仲復) : 무과 감찰

홍 권(洪 權) : 상호군, 부마

홍 림(洪 琳) : 대언, 우왕기미에 피화

홍유거(洪有矩) : 증참판

홍천수(洪天壽) : 문과 감사

홍탁현(洪鐸賢) : 판서 운관사

홍 섭(洪 涉) : 도총제

홍인보(洪仁補) : 보승랑장

홍인로(洪仁老) : 예빈소윤

홍의로(洪義老) : 상호군 증찬성

홍계성(洪季成) : 판사

홍귀동(洪貴童) : 상장군

홍일동(洪逸童) : 號 麻川 문과, 진현관 대제학

홍약치(洪若治) : 문과, 호조참의

홍 릉(洪 陵) : 예조판서

홍자온(洪自溫) : 용호위 사직

홍계방(洪桂芳) : 이조참판, 청백리

홍수로(洪壽老) : 판개성윤

홍 심(洪 深) : 가정대부 한성부윤 익성부원군

홍 증(洪 曾) : 호군

홍덕연(洪德演) : 별시 문과 증숭정대부 좌찬성

홍덕윤(洪德潤) : 통훈대부 종묘서령

홍덕염(洪德濂) : 진사 직장

홍옥견(洪玉堅) : 병사

홍 윤(洪 潤) : 금부도사 순절 정여

홍 결(洪 潔) : 병마우후 어모장군

홍 준(洪 濬) : 수군절도사

홍 연(洪 淵) : 이조참판

홍유강(洪有江) : 공조참의

홍순언(洪純彦) : 당릉군 광국공신 병조참판

홍지연(洪志淵) : 숭문원박사

홍선현(洪善賢) : 공조판서

홍여강(洪汝剛) : 문과 보문각 직제학

홍익성(洪益誠) : 공조참판 상호군 동지중추부사

홍여방(洪汝方) : 문과 이조판서 대제학

홍우명(洪禹明) : 공조참판

홍맹부(洪孟阜) : 군수

홍효영(洪孝瑛) : 목사

홍계용(洪繼庸) : 부사

홍우성(洪禹成) : 직장

홍사발(洪思潑) : 참판

홍치강(洪致康) : 첨지중추부사

홍우원(洪禹元) : 군수

홍 석(洪 錫) : 가선대부 광천부윤 남성군

홍 감(洪 鑑) : 군기시정

홍 환(洪 渙) : 정평부사

홍 치(洪 治) : 부사

홍수득(洪守得) : 都正

홍 응(洪 應) : 諡 忠貞. 문과 사가호당 좌의정 익성부원군

홍 칭(洪 偁) : 진사 사복시첨정

홍 흥(洪 興) : 대사헌

홍석보(洪碩輔) : 文科 황해도관찰사

홍세창(洪世昌) : 예조참의

홍석필(洪碩弼) : 진도군수

홍하손(洪賀孫) : 증군사정

홍경손(洪敬孫) : 문과 첨지중추부사 동지성균관사

홍여해(洪汝諧) : 문과 함주목사

홍 연(洪 演) : 문과 집의 단종손위시 사세

홍 정(洪 淀) : 원주목사

홍 훈(洪 訓) : 군수

홍원용(洪元用) : 판돈영부사 시호 장만

홍한경(洪漢卿) : 대구부사

홍도상(洪道常) : 강영군 참판

홍 직(洪 直) : 시정

홍연산(洪燕山) : 사한부 감찰

홍연우(洪燕雨) : 호군

홍인범(洪仁範) : 통정대부 부사

홍인헌(洪仁憲) : 문과 강원감사

홍인서(洪仁恕) : 호조판서

홍 강(洪 講) : 지평

홍효인(洪孝仁) : 평장사

홍 인(洪 磷) : 장성현감

홍순형(洪順泂) : 감찰

홍순손(洪順孫) : 직장

홍경동(洪敬童) : 부사과

홍언화(洪彦華) : 무과 부정

홍윤희(洪閏禧) : 예문관 대교

홍 준(洪 俊) : 별좌 증승지

홍우명(洪禹明) : 가선대부 이조참판

홍흥조(洪興祚) : 병사

홍 수(洪 壽) : 무과 보성군수

홍윤온(洪潤溫) : 도승지 상호군

홍윤선(洪潤善) : 감사

홍윤덕(洪潤德) : 문과 봉상시부정 증이조참의

홍 인(洪 潾) : 승정원 승지

홍효달(洪孝達) : 사직

홍경달(洪敬達) : 형조좌랑

홍제원(洪濟源) : 영변절도사

홍구서(洪九叙) : 한성부사

홍연손(洪演孫) : 철산부사

홍자아(洪自阿) : 문과 병조참판 경상도관찰사

홍예손(洪禮孫) : 동래교수

홍 심(洪 琛) : 사재직장

홍 임(洪 任) : 동지중추부사 증찬성 당은군 시호 정간

홍 선(洪 璇) : 부사직

홍달손(洪達孫) : 諡 安武. 무과에 급제 1453년 정난공신 1등 1455년 좌익공신 2등 1467년에 좌의정에 남양부원군

홍순손(洪順孫) : 판서 당천군

홍윤성(洪允成) : 諡號 威平 문과 급제, 한성부 참군 1453년 정난공신 좌익공신 1469년에 영의정 인산부원군 좌리공신

홍여한(洪汝漢) :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홍유한(洪裕漢) : 첨지중추부사

홍 제(洪 霽) : 시정 선무원종공신 용인시 향토유적 제48호로 지정

홍윤복(洪允輻) : 호군

홍 상(洪 常) : 諡 昭夷. 수록대부 당양위

홍사원(洪士源) : 천안군수

홍사호(洪士浩) : 군수

홍 질(洪 侄) : 문과 승지

홍사부(洪士俯) : 사첨시정

홍맹손(洪孟孫) : 호군

홍철석(洪鐵石) : 제용감정

홍여주(洪汝舟) : 군수

홍 진(洪 進) : 이조판서 당흥부원군

홍 우(洪 遇) : 합천군수

홍 우(洪 蕅) : 공주목사

홍 준(洪 遵) : 문과 승지

홍 선(洪 選) : 도승지

홍 달(洪 達) : 호군

홍봉선(洪奉先) : 안악군수

홍효손(洪孝孫) : 숙천부사

홍원용(洪元用) : 諡 章簡公 판돈영부사 강녕군

홍형용(洪亨用) : 사직

홍이용(洪利用) : 부사

홍한경(洪漢卿) : 대구부사

홍문중(洪文仲) : 참의

홍세준(洪世俊) : 상의원 첨정

홍 주(洪 疇) : 내금위장

홍치경(洪致敬) : 철산군수

홍경종(洪敬宗) : 군수

홍귀달(洪貴孫) : 병조판서

홍 지(洪 漬) : 당성군

홍 순(洪 洵) : 선략장군

홍 만(洪 晩) : 첨사

홍이석(洪利碩) : 판서

홍우석(洪禹碩) : 부사

홍희석(洪希碩) : 부사

홍 순(洪 淳) : 진현관대제학

홍무의(洪武毅) : 건공어모장군

홍경림(洪景霖) : 諡號 文翊. 문과 공조판서 정국공신 익원군

홍경주(洪景舟) : 諡 度烈 문과 사복시첨정으로 중종반정을 주도하여 정국공신 1등 남양군 병조판서 대사헌을 지내고 좌찬성역임

홍유의(洪有義) : 절제사

홍 희(洪 禧) : 대호군

홍 전(洪 瀍) : 상호군

홍처의(洪處義) : 수의부위 충무위부사정

홍법화(洪法華) : 大卿

홍인신(洪仁信) : 검교중추

홍만룡(洪萬龍) : 판사

홍보환(洪普環) : 좌상시

홍유량(洪有良) : 감사

홍경창(洪慶昌) : 부사

홍여성(洪汝誠) : 참의

홍수겸(洪守謙) : 별시위 병조좌랑

홍 연(洪 漣) : 監務

홍 순(洪 淳) : 사재시감

홍 강 : 지평

홍효인(洪孝仁) : 평장사

홍 윤(洪 潤) : 수사

홍숙손(洪淑孫) : 좌승지

홍인우(洪仁祐) : 생원 증영의정

홍인지(洪仁祗) : 서윤

홍인경(洪仁慶) : 문과 도승지 부제학

홍인건(洪仁健) : 문과 집의

홍인준(洪仁俊) : 문과 현감

홍인걸(洪仁傑) : 문과 참의

홍인서(洪仁恕) : 판서

홍인복(洪仁福) : 부사

홍인국(洪仁國) : 진사부호군

홍인달(洪仁達) : 집의

홍 건(洪 健) : 무과 북병사

홍인귀(洪仁貴) : 사복시정

홍인종(洪麟踪) : 충청관찰사

홍귀달(洪貴達) : 문과 좌참찬 양관 대제학

홍 혁(洪 爀) : 군자감정

홍 잠(洪 箴) : 사직

홍 소(洪 遡) : 부사

홍 활(洪 滑) : 무과 첨사

홍 연(洪 演) : 평조좌랑

홍 관(洪 慣) : 강원도 관찰사

홍덕연(洪德演) : 세자익위사어 좌승지

홍견수(洪堅壽) : 무과 사복시정

홍우명(洪禹命) : 참지

홍백경(洪佰慶) : 공조참판

홍순복(洪順福) : 기묘사화 피화 노봉서원 배향

홍 명(洪 命) : 군수

홍인건(洪寅健) : 무과 군수

홍치원(洪致遠) : 무과 첨사

홍여율(洪汝栗) : 순천군수

홍여기(洪汝器) : 사복시정

홍여한(洪汝漢) : 양주목사

홍덕염(洪德濂) : 진사, 상의원 직장 증호조 참판

홍 절(洪 節) : 현감 첨추

홍 부(洪 溥) : 문과 상의원정 겸 장령

홍 우(洪 宇) : 경력

홍원숙(洪元淑) : 좌랑 증참판

홍여해(洪汝諧) : 의령현감 겸 함주목사

홍계원(洪係元) : 문과 지평

홍계정(洪係貞) : 문과 대교

홍인손(洪仁孫) : 부사

홍도상(洪道常) : 참판 강녕군

홍성강(洪性綱) : 청송부사

홍의통(洪義通) : 부제학

홍효정(洪孝廷) : 충훈경력

홍이필(洪爾弼) : 덕천군수

홍 개(洪 漑) : 상의원정

홍춘경(洪春卿) : 號 石壁. 문과, 사가호당, 문과중시에 장원 항해도 관찰사를 역임 문장력이 뛰어나 중종의 묘지문을 지었다.

홍춘년(洪春年) : 문과 강원도 관찰사

홍맹상(洪孟相) : 초계군수

홍석방(洪碩舫) : 문과 원주목사 증예조참판

홍응세(洪應世) : 군수

홍봉세(洪奉世) : 판결사 증이조참판

홍 주(洪 洲) : 대사헌

홍천년(洪天年) : 군자감정

홍신민(洪信民) : 문과 학유효행 증도승지

홍구석(洪九碩) : 목사

홍 변(洪 汴) : 충청도 병마우후

홍우공(洪禹貢) : 형조참의

홍자정(洪自貞) : 군수

홍 심(洪 深) : 목사

홍처성(洪處誠) : 진도군수

홍 찬(洪 粲) : 충청도 병사

홍신복(洪信福) : 한성부윤

홍유겸(洪有謙) : 도승지

홍맹겸(洪孟謙) : 군수

홍중겸(洪仲謙) : 군수

홍 간(洪 諫) : 봉산군수

홍유량(洪有量) : 세자익위사어 전라도병마우후. 절충장군

홍 진(洪 瑱) : 문과 통정대부 형조참의

홍 함(洪 涵) : 문과 춘추과기주관 좌랑

홍 호(洪 浩) : 병사

홍익창(洪翼昌) : 군수

홍익준(洪翼俊) : 문과 풍기군수

홍익세(洪翼世) : 문과 정랑

홍익염(洪翼談) : 승정원 동부승지

홍 묵(洪 黙) : 군수

홍이필(洪利弼) : 승지

홍유환(洪有煥) : 동지중추부사 당원군

홍윤량(洪允良) : 수군절도사

석구(洪錫龜) : 정주목사 유문집 십권

홍유구(洪有龜) : 통훈대부 예빈시정

홍약리(洪若裏) : 여주목사

홍약이(洪若彝) : 상장군

홍약유(洪若猷) : 상장군

홍약심(洪若沈) : 돈녕부정

홍약철(洪若哲) : 사복시정

홍 형(洪 泂) : 충청감사

홍세하(洪世河) : 군수

홍윤관(洪允寬) : 군수

홍 견(洪 堅) : 김해부사 구산사에 배향

홍세준(洪世準) : 무과첨정

홍이신(洪以信) : 첨의주찬 수문전태학사 수국사 태학사

홍만령(洪萬齡) : 밀양부사

홍 적(洪 迪) : 문과 호당 전한

홍 흡(洪 潝) : 첨정

홍언방(洪彦邦) : 문과 홍문박사 성균전적 이조정랑

홍언충(洪彦忠) : 문과 이조좌랑

홍천민(洪天敏) : 사복시정

홍흥조(洪興祚) : 정랑

홍희남(洪喜男) : 숭록대부 동지중추부사

홍인수(洪仁壽) : 형조좌랑

홍순일(洪純一) : 집의

홍미수(洪眉壽) : 좌랑

홍 직(洪 稙) : 무과 문화현령 병자순절 명정여 문화충효사 배향

홍 활(洪 闊) : 첨지중추부사 여주군수

홍 림(洪 霖) : 남원부사

홍경호(洪景浩) : 사재감 첨정

홍만손(洪萬孫) : 첨절제사

홍치무(洪致武) : 병사

홍약창(洪約昌) : 임진창의 토적진중 전몰 함창청암서원배향

홍 척(洪 滌) : 사간원사간

홍천민(洪天民) : 號 栗亭. 문과, 사가호당 도승지

홍일민(洪逸民) : 연기현감, 증 참찬

홍성민(洪聖民) : 號 拙翁. 諡號 文貞. 문과 사가호당 광국공신 二等 대제학 호조판서

홍 붕(洪 鵬) : 호 敬齋. 제용감첨정 유학행효행 학정서원 배향

홍여성(洪汝誠) : 양양부사

홍여순(洪汝諄) : 문과, 호조판서 병조판서

홍 순(洪 淳) : 가평군수

홍 혼(洪 渾) : 문과 증참판 이조참의

홍 영(洪 泳) : 고성군수

홍우원(洪禹元) : 군수

홍방계(洪芳繼) : 군수

홍 위(洪 瑋) : 문과 지평 유문집

홍하창(洪夏昌) : 통정대부 어모장군 수군첨절제사

홍하명(洪夏明) : 황해도병마동첨절제사 충청도 수군절제사 삼도병마절도사 삼도통제사 함경도 병사

홍하신(洪夏臣) : 삼화부사

홍극제(洪克濟) : 문과 승문원정자

홍계남(洪季男) : 통신사무관으로 일본에 다녀오고 임진왜란에 아버지 洪自秀와 안성에서 의병을 일으켜 수원지방에서 전공을 세웠다. 정공을 세워 참판에 올랐다.

홍 찬(洪 澯) : 선산부사

홍 지(洪 沚) : 진도군수

홍유의(洪有倚) : 전라도병사

홍득신(洪得信) : 가선대부 좌도수사

홍인록(洪仁祿) : 무과 봉산군수

홍자수(洪自修) : 인진순절 증우찬성 정여

홍귀충(洪貴忠) : 호조참의

홍건원(洪乾元) : 승문원 교리

홍서용(洪瑞龍) : 금산군수 증이조참서

홍서봉(洪瑞鳳) : 諡號 文靖. 문과 사가호당 정사공신 3등 대제학 병자호란당시 좌의정으로 적진에 왕래하며 화의를 이루었고 영의정에 올라 부원군에 봉해졌다.

홍영부(洪永孚) : 무과 이산군수

홍서익(洪瑞翼) : 문과 병조참의 증영의정

홍 식(洪 湜) : 호 西湖 문과 이조참판 증영의정

홍선기(洪宣起) : 문과공조전서

홍서구(洪瑞龜) : 호조좌랑

홍 림(洪 霖) : 문과 이조정랑 효행명정여

홍유찬(洪有燦) : 수군절도사

홍석우(洪錫禹) : 해주진관병마동첨절제사 장연부사

홍종위(洪宗渭) : 병조참의

홍세호(洪世虎) : 남양부사

홍덕수(洪德壽) : 고성군수

홍순각(洪純慤) : 문과 동지중추부사

홍금남(洪今南) : 호조정랑 마전군수

홍태손(洪泰孫) : 군수

홍치무(洪致武) : 병마절도사

홍인서(洪仁恕) : 덕천군수

홍명세(洪名世) : 이조정랑

홍우평(洪禹平) : 가선대부 부사

홍우귀(洪禹龜) : 무과 군수

홍서주(洪叙疇) : 통정대부 초계군수

홍덕수(洪德壽) : 고성군수

홍신성(洪頣性) : 선천부사

홍사제(洪思濟) : 문과 홍문관 정자

홍용해(洪龍海) : 가선대부 군수

홍서귀(洪瑞龜) : 가선대부 예조참판

홍취호(洪就湖) : 가선대부 도승지

홍상빈(洪尙賓) : 문과 가선대부 호조참판

홍우적(洪禹績) : 통훈대부 안성군수

홍언경(洪彦卿) : 정선군수

홍윤현(洪胤玄) : 천안군수

홍보경(洪輔卿) : 가평군수

홍이곤(洪以坤) : 한성서윤

홍자곤(洪自坤) : 정랑

홍여량(洪汝兩) : 예조참의

홍명일(洪命一) : 號 葆翁. 문과급제 이조정랑 대사성 寧安君에 襲封

홍명원(洪命元) : 號 海峰. 문과 急告使로 명나라에 다녀왔음. 경기도관찰사 겸 경기도 수병사

홍명형(洪命亨) : 號 無適堂, 諡號 義烈. 광해조에 문과 장원 승문원부제조 병자호란때 강화도에서 화약고에 불을 지르고 순절

홍명계(洪命啓) : 가선대부 병조참판

홍명구(洪命耈) : 號 懶齋, 諡號 忠烈. 알성문과에 장원평안도관찰사로 있을때 병자호란이 일어나 근왕병 2,000명을 거느리고 금화에서 전사

홍명하(洪命夏) : 號 沂川. 諡號 文簡. 문과 대사헌 병조판서를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 淸白吏

홍처원(洪處元) : 통정대부 병조참의

홍시일(洪時逸) : 승지

홍우경(洪友敬) : 수록대부 당원위 선조의 부마 諡號 貞簡

홍 술(洪 珬) : 가선대부 남병사

홍 근(洪 瑾) : 무과 군수

홍경순(洪警舜) : 이조참판

홍호위(洪號位) : 호조참판

홍 탄(洪 墠) : 풍덕군수

홍 제(洪 濟) : 무과 임진창의 충무공휘하 남해현령

홍천뢰(洪天賚) : 무과 훈련원정 임진倡義 증병조참의

홍인걸(洪仁傑) : 무과 창주방어사 향충효사

홍원해(洪源海) : 무과 첨절제사

홍 징(洪 澄) : 첨절제사

홍자강(洪自江) : 첨절제사

홍명신(洪命信) : 무과부사

홍종위(洪宗渭) : 병조참의

홍유손(洪裕孫) : 호 蓧叢 진사 김종직 문하에 들고 추강 남효온과 함께 세속에서 벗어나 시주로 세상을 보냈다. 당시의 명유 김수온 김시습 등과 교류하였다.

홍계해(洪啓海) : 첨절제사

홍 식(洪 湜) : 공조좌랑

홍승범(洪承範) : 문과 부정자

홍사효(洪思斅) : 호조참판

홍순일(洪純一) : 집의

홍사고(洪思古) : 자산군수

홍사집(洪思揖) : 문과 좌랑

홍 제(洪 濟) : 호조좌랑

홍충열(洪忠烈) : 부사

홍 곤(洪 昆) : 인천부사

홍 범(洪 範) : 가선대부 첨지중추부사 효행명정려

홍상용(洪尙容) : 진사 부사

홍치택(洪致澤) : 승정원 도승지

홍우기(洪遇箕) : 진보현감 형조정랑

홍남립(洪南立) : 문과 대사간

홍여하(洪汝河) : 문과 사간

홍우평(洪禹平) : 부사

홍우귀(洪禹龜) : 무과 군수

홍서주(洪叙疇) : 초계군수

홍흥조(洪興祖) : 문과 이조 정랑

홍흥지(洪興祉) : 문과 철원부사

홍득일(洪得一) : 문과 강원도 관찰사

홍이일(洪履一) : 공주목사

홍봉일(洪奉一) : 무과 첨절제사

홍석기(洪錫箕) : 문과 형조참의

홍석무(洪錫武) : 무과 공주목사

홍 은(洪 蒑) : 문과 장령

홍처량(洪處亮) : 號 北汀. 諡號 貞靖. 문과 대사헌 이조판서 홍문관 제학 좌참찬 판중추부사를 역임

홍처주(洪處宙) : 장성부사

홍처후(洪處厚) : 諡 忠莊. 문과 경기도관찰사를 역임

홍처심(洪處深) : 사재첨정

홍처윤(洪處尹) : 號 安分齋. 문과 관찰사 예조참의

홍처대(洪處大) : 문과 관찰사 지중추부사를 역임

홍처준(洪處濬) : 한성서윤

홍중보(洪重普) : 號 梨川, 諡號 忠翼. 문과 도승지 우의정

홍 전(洪 瑑) : 문과 황해도관찰사 한성좌윤 척화신

홍명복(洪命馥) : 문과 관찰사 병마수군절도사

홍 무(洪 茂) : 군자감정

홍 위(洪 葳) : 문과 사가호당 관찰사 청백리

홍 헌(洪 憲) : 형조정랑

홍 리(洪 理) : 온양군수

홍 서(洪 曙) : 문과 정언

홍 위(洪 噅) : 문과 병조정랑

홍선양(洪善養) : 생원 청주목사

홍이간(洪履簡) : 동지중추부사

홍세공(洪世恭) : 문과 전라도관찰사

홍세영(洪世英) : 문과 동부승지

홍세찬(洪世贊) : 군자감정

홍무적(洪茂績) : 號 白石, 諡號 忠貞. 광해군 7년 거제도로 유배 인조반정으로 풀려나와 우승지 병조참판을 역임 배청파라하여 청나라에 억류 그후 병조판서 우참찬이 되었다.

홍운해(洪雲海) : 영근군수

홍조해(洪朝海) : 온양군수

홍 보(洪 俌) : 영주군수

홍덕원(洪德元) : 함양군수

홍의필(洪義弼) : 문과 신천군수

홍구상(洪龜詳) : 상원군수

홍치상(洪致祥) : 문과 이조참의

홍창세(洪昌世) : 충청도수군절도사

홍영준(洪英俊) : 이산군수

홍천성(洪天成) : 군자감정

홍필중(洪必中) : 공조참의

홍구서(洪九敍) : 이천부사

홍구령(洪九齡) : 영천군수

홍수하(洪受河) : 문과 장령

홍수량(洪受湸) : 순흥부사

홍수헌(洪受瀗) : 諡 文靖. 문과 이조판서 홍문관 제학

홍수점(洪受漸) : 문과 종성부사

홍득후(洪得厚) : 문과 가선대부 병조참판

홍 징(洪 澄) : 당성군

홍정환(洪廷煥) : 이조판서

홍해징(洪海澄) : 이조정랑

홍 옥(洪 鋈) : 사천군수

홍덕강(洪德綱) : 한성좌윤

홍성기(洪聖紀) : 첨지중추부사 병조참판

홍성규(洪聖揆) : 문과 정랑

홍종택(洪宗澤) : 군자감정

홍치화(洪致和) : 남양부사

홍 약(洪 鑰) : 대사간

홍재일(洪載逸) : 부사

홍의원(洪義源) : 문과 문천군수

홍윤종(洪胤宗) : 길주목사

홍서기(洪敍箕) : 병조참의

홍수주(洪受疇) : 호 壺隱. 문과 경기관찰사

홍수인(洪受寅) : 백천군수

홍득기(洪得箕) : 호 月湖 수록대부 익성위 효종의 부마

홍득우(洪得禹) : 통정대부 강원도관찰사 증영의정

홍득범(洪得範) : 통천군수

홍계범(洪啓範) : 통정대부 공조참의

홍윤오(洪允五) : 문과 동지중추부사

홍시걸(洪時傑) : 곤양군수

홍직필(洪直弼) : 湖 梅山. 諡號 文敬. 대학자 학행으로 천거되어 대사헌 지돈녕 형조판서 후학양성에 힘써 많은 문인을 배출

홍우서(洪禹瑞) : 문과 대사간 유유고

홍우제(洪禹齊) : 파주목사

홍우전(洪禹傳) : 號 龜灣 文科 예조참판 증영의정

홍우협(洪禹協) : 풍천부사

홍우채(洪禹采) : 함양군수

홍우익(洪禹翊) : 영천군수

홍우정(洪禹鼎) : 나주목사

홍필웅(洪弼雄) : 공조참판

홍인조(洪寅祚) : 문과 첨지중추부사

홍 악(洪 岳) : 사복시정

홍점부(洪點富) : 호조판서

홍억만(洪億萬) : 공조참의

홍우령(洪禹寧) : 문과 경상도관찰사

홍우한(洪禹翰) : 단양군수

홍우행(洪禹行) : 문과 정언

홍순연(洪舜衍) : 문과 흥덕군수

홍시준(洪時俊) : 한성우윤

홍 은(洪 珢) : 한성서윤

홍덕차(洪德昌) : 목사

홍정명(洪定命) : 병자호란때 강화에서 순절 증가선대부 이조참판 시충정

홍수명(洪受命) : 무과 첨절제사

홍수청(洪水淸) : 무과 첨절제사

홍가립(洪可立) : 병사

홍여근(洪汝根) : 예조참판

홍범건(洪範健) : 무과 첨정 판중추

홍세형(洪世亨) : 군자감정

홍일백(洪一伯) : 호조좌랑

홍일재(洪一載) : 첨지중추부사

홍서하(洪叙夏) : 형조정랑

홍종해(洪宗海) : 문과 좌랑 대사간

홍진옥(洪振玉) : 병조참판

홍주만(洪周萬) : 승지 판윤

홍정만(洪鼎萬) : 첨절제사

홍수구(洪受九) : 무과 절제사 군수

홍득원(洪得源) : 첨절제사

홍 림(洪 霖) : 비장 청주에서 순절 증호조참판 정여 청주 표충사 배향

홍광일(洪光一) : 문과 한성좌윤

홍원익(洪元益) : 무과 병사

홍석주(洪錫疇) : 장악원 원정

홍약필(洪若弼) : 순천감목관

홍우면(洪禹冕) : 한성윤

홍응항(洪應恒) : 형조좌랑

홍 형(洪 瀅) : 문과 문학

홍하서(洪河瑞) : 문과 병조좌랑

홍상직(洪相直) : 문과 대사간

홍우도(洪禹道) : 문과 예조정랑

홍 빈(洪 彬) : 문과 사헌부 집의

홍성귀(洪聖龜) : 문과 지중추부사

홍재혁(洪載爀) : 첨지중추부사

홍응경(洪應卿) : 좌승지

홍사묵(洪思黙) : 문과 좌랑

홍 원(洪 援) : 군자감정

홍 우(洪 楀) : 문과 정의현감

홍태두(洪泰斗) : 무과 남병사

홍태배(洪泰培) : 무과 안동부사

홍도달(洪道達) : 진사 문과 정랑

홍시제(洪時濟) : 문과 병조참판

홍계상(洪啓祥) : 생원 형조정랑

홍계정(洪啓禎) : 진사, 형조정랑

홍윤우(洪允祐) : 진사 사옹첨정

홍계능(洪啓能) : 시강원진선

홍우규(洪禹圭) : 무과 첨절제사

홍하제(洪夏濟) : 문과 예조좌랑

홍정명(洪廷命) : 문과 집의

홍정필(洪廷弼) : 진사문과 응교

홍서적(洪緖績) : 군수

홍극징(洪克澄) : 군자감정

홍만갑(洪萬甲) : 호조참판

홍신유(洪愼猷) : 문과 성균관전적 유유고

홍기업(洪琦業) : 군자감정

홍원상(洪元相) : 형조참의

홍달성(洪達成) : 통정대부 병조참지

홍달연(洪達淵) : 문과 정자

홍우하(洪遇夏) : 공조참의

홍치중(洪致中) : 號 北谷. 諡號 忠簡. 領議政 文科 북평사가 되어 백두산 정계비 건립에 참여

홍우경(洪禹瓊) : 한성부윤

홍우규(洪禹圭) : 절충장군

홍 린(洪 潾) : 평양서윤

홍 순(洪 洵) : 대흥군수

홍 영(洪 泳) : 문과 필선

홍하서(洪夏瑞) : 문과 병조좌랑

홍하상(洪夏相) : 창원부사

홍하주(洪夏疇) : 온성부사

홍우적(洪禹績) : 문과 부사

홍 석 : 문과 장악원정

홍은호(洪垠昊) : 군수

홍인묵(洪仁黙) : 경상우도 병사

홍언철(洪彦喆) : 문과 통정대부 승지

홍시부(洪時溥) : 문과 병조참의

홍일순(洪一純) : 시흥군수

홍시모(洪時模) : 승정원 동부승지

홍순민(洪舜民) : 황해도 병사

홍 억(洪 億) : 문과 지평

홍상조(洪相朝) : 문과 봉상시정

홍세유(洪世猷) : 예조참판

홍인해(洪仁海) : 가선대부 형조참판

홍계만(洪啓萬) : 통정대부 병조참의

홍호인(洪好人) : 號 老圃. 문과 한성판윤, 자헌대부 입기사

홍경유(洪景遊) : 진산군수

홍경후(洪景厚) : 장성부사

홍경두(洪景斗) : 삼척부사

홍경안(洪景顔) : 문과 좌부승지

홍계적(洪啓迪) : 號 守虛齋. 諡號 忠簡 문과 대사헌 신임사화로 옥사, 영조즉위후 신원 증이조판서

홍계흠(洪啓欽) : 정선군수

홍계현(洪啓鉉) : 한성서윤 증이조참판

홍계유(洪啓裕) : 문과 의주부윤

홍계학(洪啓學) : 형조정랑

홍윤중(洪允中) : 무과 자헌대부 동지중추부사

홍정상(洪廷相) : 의주부윤

홍 경(洪 儆) : 고성군수

홍진유(洪晉猷) : 밀양부사

홍헌유(洪獻猷) : 금구현령 효행정여

홍정유(洪鼎猷) : 담양부사

홍계희(洪啓禧) : 號 淡窩. 諡號 文簡. 文科, 균역당상 이조판서, 1748년에 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오고 판중추부사 奉朝賀 有文集

홍계망(洪啓望) : 문과 돈녕부도정

홍계장(洪啓章) : 온양군수

홍계현(洪啓賢) : 가산군수

홍계운(洪啓運) : 백천군수

홍계훈(洪啓薰) : 號 圭珊, 諡號 忠毅. 동학혁명때 兩湖초토사로 출전 훈련대장 한성부판윤 을미사변때 광화문에서 순절, 장춘단에 배향

홍윤원(洪啓遠) : 文科 숭정대부 지중추부사 입기사

홍윤복(洪允復) : 파주목사

홍계철(洪繼哲) : 철산부사

홍계선(洪繼善) : 곤양군수

홍유완(洪有完) : 이조참의

홍석추(洪錫樞) : 호조참의

홍성해(洪成海) : 號 梧村 丁酉昌義 원종공신

홍덕남(洪德湳) : 전적 병자창의순절 시 충의

홍기제(洪旣濟) : 문과 첨지중추부사

홍서기(洪敍箕) : 문과 동지중추부사

홍계옥(洪啓沃) : 문과 군수

홍 성(洪 晟) : 문과 지의금부사 입기사 유유고9권

홍 담(洪 曋) : 문과 병조정랑

홍선훈(洪善勳) : 병마절도사

홍 우(洪 旴) : 승정원 동부승지

홍구서(洪九瑞) : 문과급제 승지

홍계서(洪啓瑞) : 한성서윤

홍이학(洪履學) : 가선대부 한성부 좌윤

홍봉관(洪鳳觀) : 통정대부 고원군수

홍붕관(洪鵬觀) : 통훈대부 철원군수

홍진일(洪震一) : 군기시 첨정

홍계청(洪啓淸) : 장악원정

홍 택(洪 澤) : 병조참의

홍진봉(洪振鳳) : 군자감정

홍진웅(洪震雄) : 첨절제사

홍진석(洪震碩) : 무과 부사

홍인원(洪仁元) : 목사

홍성원(洪聖源) : 문과 전적

홍영관(洪永觀) : 문과 설서삼사응교

홍응관(洪應觀) : 용천군수

홍귀서(洪龜瑞) : 병조좌랑

홍술해(洪述海) : 진사 문과 황해도관찰사

홍의영(洪儀泳) : 문과 홍문관 교리

홍경해(洪景海) : 문과 부응교

홍 체(洪 棣) : 군수

홍근영(洪近泳) : 무과 단천부사

홍희영(洪禧泳) : 비서승

홍노영(洪老泳) : 장악원정

홍낙환(洪洛煥) : 호조참판

홍재곡(洪在穀) : 첨지중추부사

홍익경(洪益瓊) : 한성좌윤

홍명호(洪命豪) : 무과 첨절제사

홍관남(洪寬南) : 풍덕도호부사

홍주신(洪柱臣) : 이조참의 행성균관대사성

홍도신(洪道臣) : 동지의금부사

홍종신(洪宗藎) : 문과 집의

홍기진(洪基鎭) : 내부참서관

홍종열(洪宗烈) : 제학

홍운석(洪雲錫) : 무과 부사

홍하운(洪夏雲) : 공조참의

홍상택(洪相澤) : 의정부참찬

홍덕규(洪德奎) : 공조참의

홍하석(洪夏錫) : 무과 창성부사

홍진명(洪振溟) : 병조참의

홍대칭(洪大稱) : 문과 정언

홍대준(洪大俊) : 홍문관 전한

홍지원(洪智源) : 호조참판 공주목사

홍택하(洪宅夏) : 문과 돈녕도정

홍종섭(洪宗涉) : 문과 정언

홍성연(洪聖演) : 문과 전적

홍윤호(洪潤浩) : 첨절제사

홍병검(洪秉儉) : 사헌부지평

홍병묵(洪秉黙) : 호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홍주익(洪柱翼) : 호는 수백재 문과 사간원정언

홍병점(洪秉漸) : 진주목사

홍병신(洪秉臣) : 사복첨정

홍상신(洪相臣) : 문과 사간원 정언

홍병기(洪秉基) : 통천군수

홍병문(洪秉文) : 동지돈녕부사 영풍군

홍병문(洪秉文) : 예천군수 안동판관

홍병찬(洪秉纘) : 문과 대사성 이조참판

홍병철(洪秉喆) : 호 이재 문과 교리

홍병덕(洪秉悳) : 무과 경상좌도 병마절도사 여주목사

홍병기(洪秉箕) : 기미독립선언 33인중1인 대한민국 건국 공로훈장 복장

홍우병(洪禹秉) : 한성부윤

홍병윤(洪秉潤) : 동지중추부사

홍수인(洪秀寅) : 문과 장령

홍병목(洪秉穆) : 평택군수

홍백순(洪百淳) : 진주목사

홍백의(洪百儀) : 문과 사간

홍영석(洪永錫) : 태안방어사

홍의문(洪宜文) : 사헌부장령

홍계상(洪繼祥) : 공조참의

홍병길(洪秉吉) : 군수

홍치룡(洪致龍) : 문과 홍문관 수찬

홍인수(洪仁秀) : 문과 좌승지

홍일원(洪一源) : 문과 통훈대부 행평안도사 겸 관향조사관

홍병원(洪秉源) : 첨지중추부사 부호군 이조참판

홍백휴(洪百休) : 금산군수

홍병동(洪秉東) : 호조참판

홍병경(洪秉慶) : 호조참의

홍제원(洪悌元) : 호조참판 겸 동지중추부사

홍병직(洪秉直) : 호조참판

홍병우(洪秉佑) : 호조참판

홍병준 : 애국지사

홍택하(洪宅夏) : 구성부사

홍 회(洪 會) : 양주목사

홍호섭(洪祜燮) : 강릉부사

홍우섭(洪祐燮) : 문과 승지

홍기섭(洪奇燮) : 이조참판

홍윤섭(洪倫燮) : 호조정랑

홍만섭(洪晩燮) : 문과 사간원 대사간

홍찬섭(洪贊燮) : 문과 정언

홍익섭(洪翼燮) : 문과 대사간 경주부윤 선치특가 가선대부 입선정비

홍중섭(洪重燮) : 문과 동부승지

홍원섭(洪遠燮) : 목사

홍우섭(洪右燮) : 문화현령 병마 첨절제사

홍은섭(洪恩燮) : 합천군수

홍만섭(洪萬燮) : 문과 승지 이조참의

홍세섭(洪世燮) : 문과 좌승지 경연 참찬관

홍명섭(洪明燮) : 연안부사

홍기섭(洪耆燮) : 보국공조판서 증영의정

홍우섭(洪遇燮) : 문과괴 호조참판

홍기섭(洪起燮) : 문과 예조판서

홍장섭(洪章燮) : 장성부사

홍중섭(洪仲燮) : 공조참의

홍귀섭(洪龜燮) : 문과 사간원 정언

홍달섭(洪達燮) : 공조참의

홍이섭(洪理燮) : 무과 원주부사

홍면섭(洪冕燮) : 문과 대사성 정주목사

홍은섭(洪殷燮) : 진사 단양군수

홍한섭(洪翰燮) : 무과 인동부사

홍원섭(洪元燮) : 생원 공조참의

홍응섭(洪應燮) : 무과 남양 도호부사 남양진 병마 첨절제사

홍태섭(洪台燮) : 밀양군수

홍만섭(洪萬燮) : 공조참의

홍원섭(洪元燮) : 승정원 동부승지

홍의섭(洪宜燮) : 공조좌랑

홍주섭(洪疇燮) : 무과 진도부사

홍일섭(洪馹燮) : 무과 평해군수

홍희섭(洪羲燮) : 문과 정언

홍구섭(洪龜燮) : 문과 병조참지

홍일섭(洪日燮) : 군자감정

홍석규(洪錫圭) : 문과 사헌부장령

홍운섭(洪運燮) : 안성군수 비서원승지

홍중복(洪重復) : 무과 선전관 병마만호

홍달삼(洪達三) : 무과 수안군수

홍성원(洪聖源) : 무과 안성군수

홍재희(洪在熙) : 사헌부지평

홍재영(洪在英) : 평창군수

홍재찬(洪在贊) : 문과 교리

홍재원(洪在元) : 좌랑

홍재선(洪在善) : 군수

홍재현(洪在鉉) : 문과 예조판서

홍재용(洪在龍) : 문과 보국영돈영부사 익풍부원군 증영의정 시호 익헌

홍재우(洪在愚) : 가능부사

홍재과(洪在果) : 신천군수

홍재록(洪在祿) : 비서승

홍재긍(洪在兢) : 안주목사

홍재혁(洪在赫) : 호조정랑

홍재철(洪在喆) : 문과 보국숭록대부 좌찬성

홍재석(洪在錫) : 평창군수

홍재선(洪在善) : 가평군수

홍재응(洪在應) : 나주목사

홍재중(洪在重) : 문과 좌부승지

홍재정(洪在鼎) : 장흥부사

홍재주(洪在周) : 홍원군수

홍재신(洪在臣) : 문과 교리

홍재봉(洪在鳳) : 연안부사

홍현규(洪顯圭) : 증숭록대부 좌찬성 겸 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도총관

홍립규(洪立圭) : 성주목사

홍승규(洪勝圭) : 교리

홍치규(洪穉圭) : 문과 이조참판

홍명규(洪明圭) : 생원 형조정랑

홍영규(洪永圭) : 문과 한성부우윤 공조참판

홍재훈(洪在勳) : 무과 충청도수군절도사

홍재신(洪在愼) : 무과 전라도수군절도사 겸 통진부사

홍재정(洪在正) : 문과 대사간, 도승지

홍재승(洪在升) : 무과 서천군수

홍재덕(洪在悳) : 상원군수

홍재영(洪在英) : 무과 평창군수

홍재두(洪在斗) : 한성좌윤

홍재익(洪在翼) : 사복시정

홍귀한(洪貴漢) : 공조참의

홍재인(洪在仁) : 공조참의

홍수흠(洪在欽) : 절충장군 상호군

홍재규(洪在圭) : 기장군수

홍재구(洪在九) : 문과 사간원 정언

홍영조(洪永祚) : 문과 부정자

홍태윤(洪泰潤) : 양주군수

홍종희(洪鍾熙) : 문천군수

홍종석(洪鍾奭) : 문과 예조판서 시호 효정

홍종대(洪鍾大) : 문과 예조참판 대사헌

홍종한(洪鍾漢) : 양양군수

홍종희(洪鍾喜) : 신천군수

홍종헌(洪鍾軒) : 문과 이조판서

홍원종(洪原鍾) : 진사 문과 승문헌 부정자

홍종영(洪鍾榮) : 문과 호조참판

홍종찬(洪鍾燦) : 문과 교리

홍종우(洪鍾宇) : 문과 비서승

홍종훈(洪鍾勳) : 무과 희천군수

홍종수(洪鍾秀) : 무과 곤양군수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 내금위장

홍종영(洪鍾永) : 문과 이조참의

홍종익(洪鍾益) : 청안군수

홍종한(洪鍾瀚) : 화천군수

홍종헌(洪鍾憲) : 문과 형조참의 부승지

홍종억(洪鍾億) : 문과 중추원 부의장

홍종서(洪鍾序) : 문과 이조판서 남능군 시호 정문

홍종열(洪鍾烈) : 무과 진주진관병마 동첨절제사

홍종원(洪鍾遠) : 생원 문과 이조참의 증영의정

홍종호(洪鍾浩) : 서흥부사

홍종영(洪鍾英) : 문과 이조판서 시 정헌

홍종무(洪鍾茂) : 진사 상주목사

홍종화(洪鍾華) : 진사 음공조판서

홍종훈(洪鍾薰) : 생원 재령군수

홍종응(洪鍾應) : 문과 이조판서

홍종운(洪鍾雲) : 문과 예조판서

홍종학(洪鍾學) : 문과 이조참의 우승지

홍종협(洪鍾協) : 문과 승지

홍종협(洪鍾協) : 문과 사헌부지평

홍종운(洪鍾運) : 문과 승지

홍종실(洪鍾實) : 이조좌랑

홍종호(洪鍾護) : 호조참의

홍종태(洪鍾台) : 호조참의

홍종규(洪鍾圭) : 한성부좌윤

홍종우(洪鍾禹) : 동돈영 당양군

홍종완(洪鍾琓) : 참판

홍종오(洪鍾五) : 공조참의

홍순욱(洪淳頊) : 군수

홍순형(洪淳馨) : 문과 숭록대부 좌찬성 예조판서 판돈영부사

홍순호(洪淳晧) : 내부참서관

홍순구(洪淳九) : 문과 규장각 직제학

홍순학(洪淳學) : 문과 이조참판

홍순긍(洪淳肯) : 문과 승지

홍순목(洪淳穆) : 생원 문과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 시호 문익

홍순칠(洪淳七) : 은율군수

홍순형(洪淳逈) : 생원 청주목사

홍순대(洪淳大) : 문과 이조참판

홍순대(洪淳大) : 조국광복운동수차투옥 애국지사 건국훈장 애족장 제2665호 수여

홍병일(洪炳一) : 문과 승지

홍봉표(洪鳳杓) : 비서원 승지

홍운표(洪運杓) : 가선대부 숭녕부 시종

홍만식(洪萬植) : 문과 이조참판 을사 순절 증참정대신 명정여 시호 충정 건국공로훈장 복장 수여

홍영식(洪英植) : 문과 병조참판 겸 우정국총판 갑신 개화혁명 우의정 3일만에 실패 피화 신원복관 시 충민

홍성우(洪性友) : 문과 이조참판 겸 부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