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씨의 유래

성씨의 유래

차성기장이씨시조(車城․機張李氏),차성이씨,기장이씨,이위(李渭).차성기장이씨조상인물

작성일 : 2017-05-05 11:17 수정일 : 2018-07-20 11:32

시조 및 본관의 유래

차성․기장 이씨(車城․機張李氏)의 시조(始祖)는 신라(新羅) 신무조(新武朝)에 은청광록대부(銀靑光錄大夫)에 오른 문의공(文義公) 사언(嗣彦)의 차남인, 이 위(李 渭)이다.

그는 신라 말에 공(功)을 세워 벽상공신(壁上功臣)에 올랐고 차성군(車城郡)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경주 이씨(慶州李氏)에서 분적(分籍)하여 위(渭)를 시조(始祖)로 하고 차성(車城)을 본관(本貫)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차성(車城)은 기장(機張)의 옛 지명이다. 기장(機張)은 경상남도(慶尙南道) 양산군(梁山郡)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는 신라 전기의 갑화량곡현(甲火良谷縣)인데, 통일신라의 경덕왕(景德王) 때 기장현으로 개명하여 동래군(東萊郡)에 속하게 하였다. 후에 양주(梁州), 또는 울주(蔚州)에 예속되기도 하였는데, 1599년(선조 32)에 다시 동래군에 예속되었다.

1895년(고종 32)에 군(郡)으로 승격되어 동래부(東萊府)에 속해 있다가 후에 동래부가 폐지되고 동래군이 될 때 기장현도 기장면(機張面)이 되어 동래군에 예속되었다. 8․15해방 이후 부산시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동래군의 대부분이 부산시에 편입되었으나 기장면(機張面)은 양산군(梁山郡)에 편입되었다.


대표적인 인물

가문의 대표적인 인물(人物)로는 위(渭)의 후곤 원주(元周)가 1417년(태종 17) 문과에 급제하여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거쳐 이천 부사(利川府使)를 지냈으며, 원주의 아들 맹종(孟宗)은 단종(端宗) 때 통사랑(通仕郞)에 올랐다.

그외 가선대부(嘉善大夫)로 돈령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낸 희원(希元)과 병조 참판(兵曹參判) 형원(亨元)이 유명했으며, 응벽(應璧)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義兵)을 일으켜 공을 세워 용양위 부사과(龍驤衛副司果)를 거쳐 선조(宣祖) 때 병조 참지(兵曹參知)에 이르렀다.


인 구

2000년 통계청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차성․기장이씨(車城․機張李氏)는 남한(南韓)에 총 688가구, 2,173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인물(歷代人物)

이진(李 鎭) 고려조에 삼중대광 태사(三重大匡太師)를 지냈다.

이시발(李時發) 고려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역임하였다.

이시봉(李時逢) 진(鎭)의 둘째 아들. 고려 때평장사(平章事)를 지냈다.

이수경(李守敬) 시발(時發)의 아들. 고려 때 내사령(內史令)을 지냈다.

이준기(李睃棋) 고려조(高麗祖)에 공부 상서(工部尙書)를 역임했다.

이교퇴(李敎退) 준기(睃棋)의 아들. 고려조(高麗祖)에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역임했다.

이정언(李晶彦) 교퇴(敎退)의 아들. 벽상삼중대광(壁上三重大匡)에 이르렀다.

이재인(李在荵) 고려 때 평장사(平章事)를 역임했다.

이대근(李大根) 재인(在荵)의 아들. 고려(高麗) 때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냈다.

이진(李 眞) 고려 때 문하시랑(門下侍郞)을 역임하였다.

이정억(李廷億) 진(眞)의 손자. 고려(高麗) 때 내사대부경(內史大部卿)에 올랐다.

이원주(李元周) 1417년(태종 17)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거쳐 이천 부사(利川府使)를 지냈다.

이형주(李亨周) 조선조에 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냈다.

이맹종(李孟宗) 1453년(단종 1) 생원시(生員試)에 올라 통사랑(通仕郞)에 이르렀다.

이계동(李季東) 조선조(朝鮮祖)에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를 지냈다.

이무(李 木貿) 호(號)는 삼계(三溪), 시호(諡號)는 금하(金賀). 1507년(중종 2) 식년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역임하였다.

이무전(李貿筌) 조선조(朝鮮祖)에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를 지냈다.

이희원(李希元) 자(字)는 춘화(春華), 호(號)는 눌암(訥菴). 1540년(중종 35) 성균관 생원(成均館生員)이 되고, 후에 가선대부(嘉善大夫)로 돈령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냄.

이형원(李亨元) 자(字)는 단욱(端郁), 호(號)는 회산(晦山). 조선조(朝鮮祖)에 병조 참판(兵曹參判)을 역임하였다.

이종문(李宗文) 조선조(朝鮮祖)에 선략장군(宣略將軍)에 올랐다.

이인(李 麟) 자(字)는 인필(仁筆). 조선조(朝鮮朝)에 통덕랑(通德郞)에 이르렀다.

이응두(李應斗) 자(字) 운학(雲鶴). 조선(朝鮮) 때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역임했다.

이응락(李應洛) 자(字)는 응수(應守). 조선조(朝鮮朝)에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이정욱(李廷郁) 조선조(朝鮮祖)에 절충장군(折衝將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냈다.

이영헌(李永憲) 자(字)는 종서(宗瑞). 조선 때 훈련원 판관(訓鍊院判官)을 지냈다.

이선중(李善重) 자(字)는 영우(英佑). 사복시정(司僕寺正)․용양위 부사과(龍驤衛副司果)를 역임하였다.

이선기(李善基) 자(字)는 진기(振基). 조선 때 부호군(副護軍)․절충장군(折衝將軍)․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 등을 지냈다. 호군공파(護軍公派)의 파조(派祖).

이선항(李先恒) 1823(순조 23)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증직(贈職)되었다.

이동보(李東普) 자(字)는 군일(君日). 절충장군(折衝將軍)으로 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을 역임하였다.

이탁조(李鐸祚) 자(字)는 군칠(君七). 태조향실(太祖香室)의 참봉(參奉)을 지냈다